암호화폐 지갑(Cryptocurrency Wallet)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디지털 지갑으로 암호화폐를 보관할 뿐만 아니라 개인 키, 공개 키를 생성하고 보유 중인 암호화폐를 관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콜드월렛과 핫월렛, 개인지갑과 거래소 지갑으로 구분한다.
- 공개 키 암호 방식(Public Key cryptography)
암호화 방식의 한 종류로 비대칭 키 쌍(공개 키, 개인 키)이 존재하며, 공개 키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 그에 대응하는 개인 키는 키의 소유자만이 알 수 있다. 공개 키 암호 방식은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다른 비대칭 키 암호 알고리즘이라 부르기도 한다. 송신자는 수신자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개인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메시지를 열어볼 수 있다.
- 개인 키(Private Key)
암호로 작성된 서명을 통해 특정한 암호화폐 지갑을 소유 및 관리할 권리가 있음을 증명하는 정보이다. 암호화폐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역할을 하며, 개인 신상 정보로 비유할 수 있다. 타인에게 공개해서는 안되는 정보이다.
- 공개 키(Public Key)
계좌로 비유할 수 있으며, 개인 키에 의하여 생성된 것이다. 개인 키를 통해 여러 공개 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암호화폐 지갑에서 암호화폐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문자 및 숫자로 조합된 주소이며, 통상적인 지갑 주소(Wallet Address)의 의미이다.
- 콜드 월렛(Cold Wallet)
오프라인 상태의 소프트웨어 지갑 개념으로 안전을 위해 오프라인 상태를 유지하며, 암호화폐를 보관한다. 적은 비용과 전력으로 자주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시스템이며,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를 저장할 수 있다. 암호화폐 거래소에서는 보안을 위해 일부 암호화폐를 콜드월렛에 보관한다.
- 핫 월렛(Hot Wallet)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및 거래소에서 사용하는 온라인 형태의 지갑이다. 보유 중인 암호화폐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입/출금이 간편한 장점이 있지만, 콜드월렛에 비해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소프트웨어 지갑(Software Wallet)
소프트웨어 지갑은 크게 2가지 분류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웹 지갑(Web Wallet)과 모바일 또는 PC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지갑(Client Wallet)이 있다.
- 씬 클라이언트 웹 지갑(Thin Client Web Wallet)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접속하지만, 플러그인 방식의 별도 설치를 거쳐야 사용 가능하다. 만들기 쉽고 저장 용량을 차지하지 않는다. 또한 동기화 시간이 없는 장점이 있지만, 웹이 다운되거나 해킹을 당한 경우 접근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예) 이더리움(Myetherwallet cx, Metamask)
- 웹 지갑(Web Wallet)
웹 브라우저를 통한 접속만으로 사용 가능하다. 만들기 쉽고 저장 용량을 차지하지 않는다. 또한 동기화 시간이 없는 장점이 있지만, 웹이 다운되거나 해킹을 당한 경우 접근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예) 이더리움(Myetherwallet)
- 풀노드 클라이언트 지갑(Full Node Client Wallet)
풀노드 클라이언트 지갑의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전체를 다운로드해야 한다. 풀 노드를 통해 거래의 진위를 판별하고, 해당 암호화폐의 블록체인을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해당 암호화폐의 개발사에서 제공하기 때문에 보안 및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저장 용량을 크게 차지할 수 있고, 동기화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예) 비트코인 = Bitcoin Core), 이더리움 = Mist
- 씬 클라이언트 지갑(Thin Client Wallet)
온라인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하기 때문에 동기화가 비교적 빠르지만, 인터넷에 로그인되어 있을 때 개인키를 따로 격리하지 않아 보안에 취약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예) 비트코인(Mycelium)
하드웨어 지갑(Hardware Wallet)
암호화폐를 안전하게 보관해주는 USB와 같은 장치이다.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해당 암호화폐에 접근하는 방법은 하드웨어를 통하는 방법뿐이다. 컴퓨터 용량을 차지하지 않고, 동기화 시간이 없으며 휴대성이 좋다. 하지만 암호화폐에 접근하는 방법이 하드웨어를 통하는 방법밖에 없으며, 구매 시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하드웨어 지갑을 잃어버릴 경우 암호화폐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지만, 하드웨어 지갑을 만드는 대부분의 회사들은 시드키와 PIN 번호를 통해 암호화폐를 복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 Trezor, Nano Ledger
종이 지갑(Paper Wallet)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가장 안전한 방법이며, 대부분의 암호화폐 지갑에서 종이 지갑을 인쇄하면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인쇄한 종이를 잃어버릴 경우 암호화폐를 찾을 수 없게 된다. 종이를 은행에 보관하기도 하며, 다른 지갑들과 비교했을 때 암호화폐를 입출금하는 절차가 번거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