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 가상화폐(Virtual Currency)
인터넷, 컴퓨터 등에 정보 형태로 남아 실물 없이 온라인상의 가상 공간에서 통용되는 화폐를 말한다. 게임 머니는 발행 주체에 종속되는 가상화폐고, 암호화폐 또한 가상화폐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유럽중앙은행(ECB), 유럽은행감독청이나 미국 재무부에서 내린 정의에 따르면, 가상화폐란 정부에 의해 통제받지 않는 디지털 화폐의 일종으로 개발자가 발행 및 관리하며 특정 가상 커뮤니티에서만 통용되는 결제 수단을 말한다. 이와 같은 가상화폐에 대한 정의를 적용하면 가상화폐로 부를 수 있는 암호화폐는 거의 없게 된다. 그래서 미국 재무부 금융범죄단속반(FinCEN)에서는 암호화폐를 가상화폐라고 부르지 않으며, 암호화폐를 거래 보안과 추가 유닛 제어, 자산 전송의 검증을 위해 암호화 디자인된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으로 규정하고 있다.
-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
돈의 액수를 디지털 정보로 바꾸고 이를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이 이용하지 못하도록 암호화하여 IC 형태로 만들어 카드로 휴대하거나 PC, 모바일 등의 기기에 보관하고 이를 네트워크 상에서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 화폐는 가상화폐보다 더 포괄적인 의미다. 즉, 디지털 형식으로 존재하는 화폐를 뜻하는 것으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팔, 그리고 신용카드 등이 이에 속한다.
- 알트코인(Altcoin)
비트코인을 제외한 모든 암호화폐를 일컫는 용어로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캐시, 라이트코인 등이 있다.
- 도미넌스(Dominance)
해당하는 암호화폐의 시가총액이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 중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가를 의미한다.
- 사토시(Satoshi)
비트코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에서 유래되었다. 비트코인의 가장 작은 단위이며, 1사토시(Satoshi)는 통상적으로 0.00000001 BTC로 표현된다.
- 탈중앙화된 분산 조직(DAO :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특정한 중앙집권주체의 개입없이 개인들이 모여 자율적으로 운용하는 조직을 뜻한다.
- 다중서명(Multisig : Multi-signature)
기존의 비트코인은 하나의 주소에 하나의 개인키가 연결되어 단일서명(Single-signature) 거래 방식이다. 하지만 다중서명 주소는 다수의 개인키가 설정되어 있다. 다중서명 주소에서 인출을 할 때는 N개의 개인키 중에서 N보다 작은 M개의 서명이 있어야 가능하다. 이를 M-of-N Signature라고 한다. 보안을 강화하거나 거래 시 이용자를 보호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 튜링 완전성(Turing Completeness)
무한 순환을 포함해서 상상 가능한 모든 계산 수행을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튜링 완전성을 지닌 블록체인은 이더리움이 있으며, 비트코인은 튜링 불완전성을 가진다. 비트코인은 무한 반복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튜링 불완전성을 의도했으며, 이더리움은 무한 반복 공격을 할 수 없게 만들기 위해 가스(gas)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 깃허브(GitHub)
분산 버전 관리 툴인 깃(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호스팅 서비스이다. 깃허브의 프로젝트는 표준 Git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으며 모든 표준 Git 명령어들이 이 인터페이스와 함께 동작한다. 또한 깃허브는 등록된 사용자와 비등록 사용자 모두에게 사이트의 공개 저장소를 찾아볼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한다. 사이트는 피드, 팔로어, 위키, 소셜 네트워크 그래프 등 소셜 네트워크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자들이 어떻게 자신의 저장소의 버전 및 포크를 작업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포크 및 해당 포크의 브랜치가 최신인지 보여준다. 사용자는 사이트에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계정을 만들어야 하지만, 공개 저장소는 누구나 탐색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등록된 사용자 계정이 있으면 토론, 저장소 관리, 다른 저장소로의 기여 제출, 코드의 변경 사항 검토를 할 수 있다.
- 바운티(Bounty)
사전적으로는 포상금을 의미하며, 해당 암호화폐에 대한 홍보 활동이나 프로그램의 버그 등을 알리는 경우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일컫는 말이다.
- 다크 넷(Dark Net)
불법 사이트 등 인터넷의 더 깊은 영역을 의미하며, 익명성이 더 강화된 네트워크로 분류된다.다크 넷 안에 있는 콘텐츠를 다크 웹(Dark Web)이라고 한다.
- 다크 코인(Dark Coin)
비트코인과 같은 블록체인 시스템에 마스터 노드를 도입하여 마스터 노드에 대한 보상으로 해당하는 암호화폐를 지급하는 알트코인으로, 거래 내역을 추척하기 어려워 익명성이 보장되는 특징이 있다. 다크 코인의 종류로는 대시, 지캐시, 모네로 등이 있다.
- 마스터 노드(Master Node)
블록체인을 통한 거래는 모두 트랜잭션이라는 거래 내역을 발생시키는데, 마스터 노드는 이런 거래 내역들을 서로 섞어 추적이 어렵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익명성을 갖게 된다. 또한 마스터 노드를 도입한 암호화폐의 경우, 마스터 노드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수량을 블록체인 상에 등록해 놓으면 마스터 노드가 될 수 있다. 이 마스터 노드는 거래를 섞어주는 역할을 하는 대가로 일정량의 해당 암호화폐를 지급받게 된다.
- P2P(Peer to Peer)
기존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또는 공급자와 소비자 개념에서 벗어나 개인 컴퓨터끼리 직접 연결을 통해 모든 참여자가 공급자인 동시에 수요자가 되는 방식이다. 즉, 인터넷에서 개인과 개인이 직접 연결되어 파일을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만들고 조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구성 및 동작에 필요한 각종 함수를 모아놓은 것을 말한다. 이처럼 프로그래밍을 할 때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인터페이스와 함수를 모아놓은 API가 널리 쓰이고 있다.
- 이중보안장치(OTP : One Time Password)
고정되어있는 비밀번호가 아닌 무작위로 생성되는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증 방식이다.
- 자금세탁방지(AML : Anti-Money Laundering system)
국내외적으로 이루어지는 불법자금의 세탁을 적발 빛 예방하기 위한 법 및 제도적 장치로 사법제도, 금융제도, 국제협력을 연계하는 종합 관리시스템을 구축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 메이커(Maker)
지정가로 매수 또는 매도 신청을 하여 호가창에 등록 후 그 가격에 도달하면 거래가 체결되는 방식이다. 즉, 바로 체결되지 않는 가격에 호가를 만들어 매매하는 자를 의미한다.
- 테이커(Taker)
호가창에 존재하는 주문을 바로 체결하는 방식이다. 시장가 체결 및 즉시 체결을 의미한다.